2007년 경제 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위기의 타계책으로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라는 정책을 꺼내든다.

사람들에게 돈을 더 주어,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소비를 활성화 하겠다는 말인데, 당시 수차례에 걸쳐 총 4조 5,000억 달러(원이 아니고, 캐나다 달러 호주 달러도 아니다. 미국 달러를 얘기하는게 맞다.)를 시장에 풀었다(관련기사). 그런데 생각해 본 적 있는가? 과연 이 돈은 누가 가져 갔을까?


국가가 양적 완화로 시중에 돈을 풀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미래에 이자를 더해 갚는다는 조건 걸고 현재의 돈을 빌려오는 채권을 발행하는데,

1. 국가는 국채(국가 채권)를 발행해 중앙은행(미국의 경우 Federal Reserve Bank, 연방 준비 은행이다)에게서 미래에 갚을 돈을 빌려오고,

2. 생긴 돈으로 각종 회사의 사채(회사 채권)를 매입해 기업들에게 미래에 갚을 돈을 빌려주며,

3. 기업은 그 돈으로 더 많은 노동자에게, 또는 더 많이 노동자에게 지급한다.

4. (보여지는)돈이 많아진 노동자는 경제 위기에 대한 체감이 덜 해지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소비하게 유도한다.

라는 일련의 과정을 따르게 된다.


그런데, 그 돈은 과연 정말 노동자에게 갔을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가 전체가 생산하는 가치(여기서의 가치는 노동으로 인해 생긴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보다 더 많이 돈을 발행 했기에, 사람들은 생산한 물품들을 서로 사려고 하며, 따라서 물품의 가격은 오르게 된다. 물가의 상승, 인플레이션의 발생이다. 위의 숫자를 다시 생각 해 보라. 4조 5,000억 달러라는 금액은, 그간 미국이 발행한 돈보다 더 많은 수치다(참조).

이런 일련의 과정 뒤엔,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 뿐이지, 사람들의 거래로 인한 세금 확보,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기업의 이익 증가와 그로 인한 또 한번의 세수 증가가 발생한다. 물론, 그렇게만 놔두기엔 폭동이 일어나 국가가 뒤집힐 위험이 있으니, 다시 물가의 안정을 시작해야 한다.

따라서, 시중에 풀어놓은 돈을 다시 끌어들일 수단이 필요하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금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미 사전에 초저금리를 유지해도 차도가 보이지 않자 시작된 양적완화기에, 이젠 다시 그 돈을 끌어 들이겠다는 것이다. 악보에서의 데크레센도와 같이, 다시 점점 줄여 나간다는 의미의 테이퍼링Tapering의 시작인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금리가 오르면 기업이나 개인들의 투자금들이 다시 은행으로 돌아오게 되며, 미국의 경우로 설명을 하자면, 슬슬 갚아야 할 돈을 받겠다고 연방 준비 은행이 국가와 회사에 통지한 것이다. 물건 가격이 오르면 물건의 판매가 이루어 지지 않고, 기업은 정부에게, 정부는 은행에게 돈을 갚아야 하기에 물가가 오르지 않고 돌아가는 과정이 생긴다.

자, 그렇다면 과연, 노동자, 소비자, 개인, 일반, 나와 당신은 그 혜택을, 부를 나누어 받은것인가?


이미 위에 세수 확보 부분에서 감을 잡았게지만, 사실 테이퍼링은 정말 어마어마한 돈을 풀었기에 추가로 있는 과정일 뿐, 없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현금을 가진 노동자는 이미 높아진 물가에 따라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한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연간 평균 2%의 수치로, 작년의 내 지갑속 1000원은 올해 980원 수준이게 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것은 복리 계산이며, 10년 후에는 약 820원, 20년 후에는 673원 정도의 구매력을 띄게 된다. 그렇기에, 현금은 가지고 있을수록 그 가치를 소실해 가는 과정을 겪게 된다.


화폐는 그 자체로 생산적인 가치를 갖지 않는다. 그렇기에, 부자는 자신의 가치를 잃지 않기 위해, 가치를 유지하는 쪽으로 자본을 배치하는 행위를 하며, 그것을 투자라 한다.

'투자고찰 > 경제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형성과정과 개념  (0) 2018.02.05
posted by Ecllid

한국인으로 태어나게 된 중산층의 보편적인 한 사람의 삶을 살펴보자.

1살에서부터 4살 5살 까지는 젖먹이 아기지만, 바로 5살 부터는 인생의 준비에 들어간다.

우선 유치원을 7살까지 다니고, 8살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며 시험받는 인생에 접어든다.

8살부터 인생의 준비라는 명목 하에 사춘기를 거쳐 성인이 된 후에, 바로 대학교를 진학했다면 23세 언저리에 졸업을 하게 된다. 군대나 인생의 준비, 여행, 자금난 등으로 휴학을 했다면 약 25세에 졸업을 하며, 구직을 하거나 자신이 생각한 미래를 펼치게 된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대체 무엇이 쉽던가?

취직이 바로 되었다면 시작은 좋다. 평균 연봉 3360만원(2017년 12월 28일 기사). 그마저도 고소득에 의한 평균 연봉 상승을 고려한다면, 더욱 낮을것은 자명한 상황. 3360만원으로 연봉의 변동이 없다고 생각한다면 월 280만원의 소득이 생긴다.

그러나 1인 가정 평균 생활비는 약 3143만원, 저축액은 월 29만원(2017년 12얼 7일 기사). 30만원씩 모아 결혼과 육아를 한다 하면 그 마저도 없을 터. 그나마도 여유가 있고 운이 좋아 60세에 정년퇴직을 할 수 있다고 친다면, 약 1억 2천 600만원을 모으게 된다. 그마저도 못 한다면 하루 2000원 벌어 먹고 살고 있을수도 있겠지. 그래도 잘만 모았다면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은 82.4세(2018년 1월 3일 기사)까지 산다면 월 560만원을 쓸 수나 있다.

이런 저런 책무에 시달리는 사람은 인생이 길고 지루하다. 하지만 인생은 오직 한번이기에 즐기면서 사는것도 나쁘지는 않지 않던가? Yolo (You Only Live Once)니까.

그러나 무엇 하나 하기에도, 무엇을 한번 해 보기에도 드는 돈은 만만치만은 않다. 해외여행을 한번 갔다 오면 수십만원은 애교다. 멀리 유럽이나 아프리카나 남미를 가면 그 두배는 가뿐하다. 무엇을 한번 해 보기에 드는 장비의 돈은 싸게 맞추어도 역시 비슷하지 아니하던가?

그렇기에, 노후를 위한 장기저축이든, 즐거움을 위한 단기저축이든, 저축은 필요하다. 통장 하나는 필요하다.

둘 다 챙길 여유가 있다면 다행이다. 그마저도 없다면, 그러나 자식을 키운다면, 최소한 가난은 되물림 하면 안되지 않겠는가?

그래, 저축을 해 보자. 연 이율 1%라도 늘어나는것이 어떠하던가?

하지만 생각을 조금만 더 해보자.

경제학에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이 있다. 나라님은 지속적으로 돈을 찍어 내기에, 국가에서 생산하는 총 가치의 양보다 돈을 더 찍어낸다면 상품의 가격은 오른다. 쉽게 말하자면, 어제의 내가 100원으로 살 수 있던 사탕 하나가, 내일은 105원을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은행에 넣는다면 1%만의 이자만 나온다고 한다면, 나는 매년 그 현금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4%p 씩 손해가 아닌가?

그렇기에, 하다못해 현금을 저축할 예정이라면, 물가상승률 보다는 더 받아야 하지 않을까?

그렇기에 사람들은 재태크라는 것을 한다.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을 찾는다. 내가 혼자 일 하는것 보단, 돈도 스스로 일한다면 두배로 벌 것이 아니던가? 그럼 적어도, 어제보단 나은 내일을 향해 가게 되지는 않을까?

posted by Ecl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