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창에서 기업의 정보를 보다 보면 몇가지 투자 지표들을 찾을 수 있다.

ROE, PBR, PER, EPS, BPS 등...

이 지표들의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가?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 자본 수익률을 의미한다.

회사가 얼마의 자본을 투입해 어느정도의 수익을 냈는지 얘기한다.

만일 회사가 1000만원을 투입해 100만원을 벌어들였다면, 회사는 10%의 ROE를 나타낸 것이 된다.

그러나, 여기서 ROE에는 부채가 얼마나 사업에 같이 투자되었는지는 나타내지 않는다.

B라는 회사가 위에서 말한 회사와 같은 사업을 하는데, 자신의 자본 500만원과 부채 500만원을 투입해 10%의 성과를 거두었다면, 이 회사의 ROE는 20%가 된다.

따라서, ROE는 사업을 얼마나 잘 하는지를 나태는 지표이나, 이를 확인할 때는 부채비율을 같이 확인해야 한다.



PBR은, 장부가 대비 가격,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현재 주가 대비 기업의 장부상 가치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다.

이는 한 회사의 현재 시가총액(현재 거래 기준 가격 x 발행 주식 수)을 지금껏 경영을 해 오면서 벌어들인 총액(현재 장부 가격)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만약 100주를 발행한 회사가 현재까지 200만원을 벌어 왔고, 각 주가 1만원에 거래가 된다면, 시가총액은 100만원이므로, PBR 지수는 0.5가 된다.

회사가 망했을 때, 모든 자본은 매각되어 주식 소유자에게 돌아가므로, PBR이 낮다는 의미는 유사시 자신이 얼마나 안전한지에 대한 지표가 된다.

PBR이 낮은면 낮을수록 자신이 매입한 금액보다 장부의 가치가 더 크다는 얘기가 되기에, 돌려 받을 돈은 더 크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유사시 우선적으로 은행에 먼저 부채를 갚도록 되어 있기에, 부채가 크다면 PBR이 낮아도 의미가 없게 된다.

그래도, PBR을 보고 투자해 망하지 않은 케이스중 하나는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이 담배꽁초 투자로 크게 실패한 전적이였던 Berkshire Hathaway다. 당시 미국에서 점점 사라져 가는 섬유산업에 투자한 대가는, 경영 악화로 인한 폐업이였으며, 그나마 이 회사를 말도 안되는 싼 가격에 샀기에, 모든 자본을 정리하고도 손해는 보지 않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BPS(Book-value Per Share)를 보기도 한다. 이는 총 자본에서 부채를 뺀, 즉, 자본 팔아서 은행에 갚고 나서 남는 돈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망했을 시 PBR보다 더 직관적인 지수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현재 주가 대비 기업의 수익 비율을 말한다.

100주를 발행한 현재 가격이 2만원인 회사가 작년 결산 결과 이익을 50만원을 남겼다면, 시가총액 200만원을 이익인 50만원으로 나누게 되므로 PER은 4가 된다.

다른 말로 하면, 회사가 이러한 이익을 향후 4년간 낸다면, 현재 가격을 생산한 가치가 같아지게 된다는 소리가 된다.

그러나 PER은 매일 변동하는 주식 가격에서 가장 직접적인 기대도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한데, 많은 사람들이나 기관들이 해당 회사가 더 발전할 것이다, 또는 더 가격이 오를것이라는 생각에 점점 주식을 사 들여 가격이 비싸진다면, PER은 자연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PER은 해당 회사의 전망에 대한 기대를 볼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

물론, 이를 이 회사가 무조건 더 잘 될거다 라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길 바란다. 단지 심리상의 지표에 불과하니.


Earning Per Share, EPS는 총 수익을 전체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한 주당 얼마나 돈을 벌었냐라는 말인데, 주당 가치를 환산 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위 PER 설명할 때 말한 100주를 발행한 회사가 50만원을 남겼다면, 해당 회사의 EPS는 5,000원이 된다.




이 지표들을 각각 이해하는데서 그치지 말고, 여기서 한발짝만 더 나아가 보자.

이 지표들을 잘 보다 보면, 특히나 PER과 EPS에서 재밌는 사실을 하나 발견할 수 있다.

P (가격) = EPS * PER

바로 PER과 EPS를 곱하면, 현재 주가가 나오게 되는데, 이를 가지고 애널리스트들은 적정주가, 미래 주가등을 계산한다.

우선 앞서 말한대로 PBR은 해당 회사의 기대 지수이기도 하다.

생각 해 보자, 같은 업종에 있는 같은 사업을 하는 다른 회사들은 잘 나가는데, 이 회사는 사람들이 잘 찾아보지 않은 것인지, 가격이 높지 않아 PER이 업종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다. 그렇다면, 다른 회사들의 PBR의 정도에 맞춰서 구매해도 문제되지 않지 않겠는가? 그래서 상대적으로 PER이 낮은 회사라면 EPS에 업종평균 PER을 곱해 적정주가라는 것을 계산해 낸다. 즉,

적정주가 = EPS * PER기대값

이게 되는데, 이는 산업이 더 발전할것이라 생각한다면, 회사의 사업이 더 번창하기에 이익이 커지고, 따라서 EPS 가 오를것이라 예상되므로, 

기대주가 = 기대되는 EPS * PER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애널리스트들이 말하는 적정값과 기대값은 해당 회사의 장부상의 내용과 앞으로 전체적인 산업이 어떻게 변할지만 가지고 계산해 나타내는, 실제로 한 회사가 어떻게 변할 것인가는 상대적으로 덜 고려한 가격인 것이다.

가치의 생산은 한 회사에서 한 사업의 결과물이지, 다른 회사나 산업이 어떻게 변할지에 따라 변하지 않기에,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IMF때도, 서브프라임 위기때에도, 산업과 관계없이 돈을 번 회사는 존재했다.

posted by Ecllid

버핏의 두가지 원칙 해석

투자고찰/투자가 고찰 2018. 3. 14. 19:12

Berkshire Hathaway의 CEO,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이 말하는, 그의 스승인 벤자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선생에게서 배운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두가지 원칙.

첫번재, 절대 잃지 마라.

두번째, 첫 번째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전 세계적으로 버핏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이를 단순하게 생각한다.


인터넷을 서핑하다가 한 글을 보았다.

혹자가 얘기했다, 만약 돈을 50% 잃었을 경우, 다시 복구하는데 필요한 금액은 남은 자본금의 100%, 즉 두배의 성과를 거두어야 하기에 그렇다고.


이는 버핏과 그의 스승인 그레이엄에 대한 이해를 전혀 하지 않고 생각한 견해다.

이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선 버핏이 누구인지에 대해 약간의 이해가 필요하다.

버핏은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우선적으로 하는 사람이다.

여기서 말하는 본질적인 가치란, 그 기업이 여태 돈을 잘 벌어 왔는가, 앞으로도 돈을 잘 벌 것인가에 대한 주관적인 견해다. 거기에 추가적으로, 그 기업이 벌어온 돈과 벌 돈 보다, 현재 그 가치가 싼지를 보고 투자를 결정한다. 물론 그레이엄 선생에게 배울 당시에는 담배꽁초 투자를 하던 자로, 앞으로 벌 돈이 얼마인지, 즉 성장성에 대한 고려하지 않고 싸다면 구매하던 시기였으나, 본질적인 부분은 그가 대학교를 입학하기 전부터, 회사를 매입하고 나서 주식 가격이 어떻게 변하던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에 완벽한 예로, 2011년 이전에 중국의 BYD에 투자를 했던 일이 있다. 그러나 2011년, BYD의 주가가 그가 매입했을 때에 비해 50%가량 떨어졌던 일이 존재하며(110303 기사), 그 이후에 그의 매입가격 대비 10%까지 떨어진다. 일반적인 개미라면 손이 떨려 다시 팔았다도 진작에 팔았을 상황. 그러나 그는 눈 하나 깜빡하지 않고 해당 주식을 그대로 보유한다. 실제로도 실적역시 작년 대비 99% 떨어져 누가 봐도 좋지 않았을 것. 그러나 2014년의 기사(140512 기사)처럼, 순식간에 회복세로 돌아섬과 동시에, 현재는 버핏이 구매했을 당시에 비해 얼추 10배의 가격을 자랑한다.

이는 앞에 두 원칙에 앞에 생략된 말, '자본'에 대한 이해가 범인의 그것과는 다른 것이다. 

그는 일반인이 자본이라 생각하는 '현금'은 가치가 아닌 가격임을 직시하고 있으며, 단지 허상에 불과함을 이해하고, 자신이 가진 현금을 가치에 옮겨놓는 작업, 투자를 하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하자면 위의 두 원칙은,


첫번째, 가치를 잃지 마라

두번째, 첫번째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이며, 조금 더 나아가 어차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구매력을 잃는 현금으로 자본을 가지고 있지 말고


첫번째, 끊임없이 투자하라.

두번째, 첫번째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라는 소리가 된다.


현금은 환상이다. 부와 가치의 생산은 현금에 있지 않다.



'투자고찰 > 투자가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핏이 애플 주식을 매입한 이유  (0) 2018.03.18
posted by Ecll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