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경제 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은행은 위기의 타계책으로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라는 정책을 꺼내든다.

사람들에게 돈을 더 주어,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소비를 활성화 하겠다는 말인데, 당시 수차례에 걸쳐 총 4조 5,000억 달러(원이 아니고, 캐나다 달러 호주 달러도 아니다. 미국 달러를 얘기하는게 맞다.)를 시장에 풀었다(관련기사). 그런데 생각해 본 적 있는가? 과연 이 돈은 누가 가져 갔을까?


국가가 양적 완화로 시중에 돈을 풀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미래에 이자를 더해 갚는다는 조건 걸고 현재의 돈을 빌려오는 채권을 발행하는데,

1. 국가는 국채(국가 채권)를 발행해 중앙은행(미국의 경우 Federal Reserve Bank, 연방 준비 은행이다)에게서 미래에 갚을 돈을 빌려오고,

2. 생긴 돈으로 각종 회사의 사채(회사 채권)를 매입해 기업들에게 미래에 갚을 돈을 빌려주며,

3. 기업은 그 돈으로 더 많은 노동자에게, 또는 더 많이 노동자에게 지급한다.

4. (보여지는)돈이 많아진 노동자는 경제 위기에 대한 체감이 덜 해지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소비하게 유도한다.

라는 일련의 과정을 따르게 된다.


그런데, 그 돈은 과연 정말 노동자에게 갔을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가 전체가 생산하는 가치(여기서의 가치는 노동으로 인해 생긴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보다 더 많이 돈을 발행 했기에, 사람들은 생산한 물품들을 서로 사려고 하며, 따라서 물품의 가격은 오르게 된다. 물가의 상승, 인플레이션의 발생이다. 위의 숫자를 다시 생각 해 보라. 4조 5,000억 달러라는 금액은, 그간 미국이 발행한 돈보다 더 많은 수치다(참조).

이런 일련의 과정 뒤엔,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 뿐이지, 사람들의 거래로 인한 세금 확보,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기업의 이익 증가와 그로 인한 또 한번의 세수 증가가 발생한다. 물론, 그렇게만 놔두기엔 폭동이 일어나 국가가 뒤집힐 위험이 있으니, 다시 물가의 안정을 시작해야 한다.

따라서, 시중에 풀어놓은 돈을 다시 끌어들일 수단이 필요하며,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금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미 사전에 초저금리를 유지해도 차도가 보이지 않자 시작된 양적완화기에, 이젠 다시 그 돈을 끌어 들이겠다는 것이다. 악보에서의 데크레센도와 같이, 다시 점점 줄여 나간다는 의미의 테이퍼링Tapering의 시작인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금리가 오르면 기업이나 개인들의 투자금들이 다시 은행으로 돌아오게 되며, 미국의 경우로 설명을 하자면, 슬슬 갚아야 할 돈을 받겠다고 연방 준비 은행이 국가와 회사에 통지한 것이다. 물건 가격이 오르면 물건의 판매가 이루어 지지 않고, 기업은 정부에게, 정부는 은행에게 돈을 갚아야 하기에 물가가 오르지 않고 돌아가는 과정이 생긴다.

자, 그렇다면 과연, 노동자, 소비자, 개인, 일반, 나와 당신은 그 혜택을, 부를 나누어 받은것인가?


이미 위에 세수 확보 부분에서 감을 잡았게지만, 사실 테이퍼링은 정말 어마어마한 돈을 풀었기에 추가로 있는 과정일 뿐, 없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현금을 가진 노동자는 이미 높아진 물가에 따라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한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연간 평균 2%의 수치로, 작년의 내 지갑속 1000원은 올해 980원 수준이게 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것은 복리 계산이며, 10년 후에는 약 820원, 20년 후에는 673원 정도의 구매력을 띄게 된다. 그렇기에, 현금은 가지고 있을수록 그 가치를 소실해 가는 과정을 겪게 된다.


화폐는 그 자체로 생산적인 가치를 갖지 않는다. 그렇기에, 부자는 자신의 가치를 잃지 않기 위해, 가치를 유지하는 쪽으로 자본을 배치하는 행위를 하며, 그것을 투자라 한다.

'투자고찰 > 경제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형성과정과 개념  (0) 2018.02.05
posted by Ecllid

화폐의 형성과정과 개념

고대시대, 원시경제에서는 모든 거래가 적당한 합의 하에 물물교환으로 이루어 졌다.

따라서 그 가치나 가격도 일정하지 않았으며, 딸기 한 바구니가 수박 한개가 될 수도 있었고, 딸기 하나가 수박 한개가 될 수도 있었다.

어디까지나 상호간 합의에 이루어 지는 교환이니까.


그러다 그들은 반짝이는 치장성의 아름다운것을 발견하게 된다. 바로 죽은 조개의 껍데기. 첫번째 화폐다.

죽은 조개의 껍데기는 오색으로 빛났으며, 많은 사람들이 탐을 내었기에, 첫번째 교환의 중심이 되었으며, 일정량의 껍데기가 가치의 가격을 대변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이들은 조개 껍데기는 화폐로써 충분히 신뢰할만한 매체라 생각하지 않게 된다.

너무나 많은 생산량이 존재했고, 많이 파손되었으며, 일정한 개인의 자산으로 보기 힘들었다.

동시에, 그들은 새로운 물질로 눈을 돌리게 된다.


아름다운 노란색의 희귀한 금속, 인류의 발전과 함께 한 화폐, 금이였다.

금은 생산량이 많지도 않았으며, 자연적으로 파손되거나 (거의) 소모되지 않았으며, 많은 사람들이 탐을 내었고, 그에 반해 쓸 곳은 예술품 따위 외에 기술적, 산업적인 면으로 쓸 곳은 없었다.

따라서 사람들의 욕망을 채우는 근간이자 수단이 되었으며, 제대로된 화폐로써 자리를 잡게 된다.

금본위제도의 시작으로 금화나 금 예술품 따위가 등장하며, 모든 가치와 가격은 금으로 통하는 듯 했다.

이로써 금을 기반으로 화페의 세가지 기능이 명료 해 지는데, 첫째로 교환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둘째로 가치의 척도로써 모든 가치를 대변하고, 셋째로 가치를 저장하여 신뢰성을 띈다.

모든 교환은 금으로 하기 시작했으며, 금으로 모든 물건과 행위에 가격을 메기기 시작하였고, 금은 그 자체로 가치를 대변하여 다른사람들에게 신뢰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금도 불편한 점이 있었다. 금속이기에 무거웠으며, 대량으로 운송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은행', '전장' 따위의 금을 보관 해 주는 기관이 등장한다.

초기의 은행은 금을 맡아주는 기관이였으며, 금을 맡김으로 인해 금을 맡았다는 증서 개념의 화폐를 발급하여 준다.

그 증서를 다른 은행에 가져가도, 그만한 금을 인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금이 실질적으로 이동할 필요성이 사라지게 된다.

실제로 1933년 이전의 달러를 보면, 20달러의 화폐에는 "TWENTY DOLLARS IN GOLD COIN"이라 적혀있으며, 은행에 가져가면 20달러와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금화로 바꿔주었다.


그렇게 금 본위 체제에서 시간이 흘러, 한 유대인이 의문을 갖는다. 

'만약 금이 입금되지 않았는데, 증서를 하나 더 발급하게 되면 과연 사람들이 여전히 사용 할 것인가?'

발급 후에 몰래 사용하려는 개인적인 욕심이였든, 더 큰 그림을 그릴 줄 아는 사회적 실험이였든, 이는 새로운 화폐 시대의 근간이 되는 물음이였다.

몇장의 증서를 더 발급함에도, 사람들은 여전히 같은 가치를 대변하리라 믿고 사용하였으며, 실제 은행에 보관되어 있는 금과 발급되어 있는 증서에 표기된 금의 양이 달라지게 된다.


조금 더 명확한 사건은 브래튼 우즈 체제와 닉슨쇼크다.

세계 2차대전 도중, 미국의 무기 공급 능력은 막대한 세계적 권력을 쥐게 해 줌과 동시에, 모든 금을 미국으로 끌어들이기 시작한다. 이는 전쟁 직후 전 세계 금의 70%가 미국에 있게 되는데, 이 전쟁 후 거래 통화정책 논란에서 1944년 1월, 전쟁 종전 전에 미국은 결국 자국달러인 USD를 세계기축통화, 전세계에서 모든 국제 거래는 달러로 하기로 결정하며, 또한. 이에 따라 받아들인 금에 1oz 당 35달러를 발급하게 된다. 

이전과 다른것이 있다면, 이 시점부터 일반인은 달러를 은행에 가져가도 금으로 변환시켜주지 않았으며, 금태환은 국제거래에만 해당하는 사항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금본위체제는 몇가지 불공정성과 위험을 안고 있었다.

우선, 금을 캘 수 있는 국가는 절대적인 우위를 가지게 된다. 양이 적든 많든 약간씩의 금을 더 캘 수 있으며, 반대로 캐지 못하는 국가는 지속적으로 캐 내어 지는 금을 따라가지 못하니, 상대적으로 경제가 머무를 수 밖에 없다. 앞서 말한 조개처럼, 적은 생산량이지만, 적게나마 일부 국가나 개인에게 특혜를 주게 되니 문제가 된다.

또한, 경제가 발전 할수록, 새로운 상품과 생산량이 늘어 날수록, 금이 대변하는 가치는 일정하니, 각 상품과 상품들의 가격의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경제를 보자면 매년 금이 캐 지는 양 보다도 경제가 성장하는 정도가 월등히 앞지르니, 예견되었지만 낮은 생산성과 적은 산업 양 등으로 인해 억눌러져 있던 문제점인 것이다.

하나 사족으로 달자면,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금의 사용처가 스피커나 전자기기 부품 등처에서 전도체로써 효용을 크게 부각 받은 것도 한 몫 한다.

따라서 위의 가장 큰 중점 두개로 인해 금 본위 체제의 한계를 인정하고, 1971 8 15, 미국 대통령 닉슨은 급작스럽게 금본위제도를 깨 버리며 실질적인 화폐경제로의 진입을 선언한다.

 

이제 화폐는, 국가가 생산하는 부가가치를 대변할 수 있을 만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인플레이션과 화폐 신뢰도의 문제를 떠안게 된다. 

posted by Ecllid